2025/03 12

유럽 재무장을 위한 '준비 2030'

유럽이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의지의 연합(Coalition of the willing)'과 '준비 2030'을 진행하고 있다.'의지의 연합'은 유럽의 군사 강국인 프랑스와 영국이 제안한 것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미국 없이도 유럽의 방위력 증강을 위해 방위비 지출을 늘리기로 한 EU와 유럽의 비회원국, 캐나다를 포함해 31개국을 가리킨다.지난 3월4일 EU집행위원회가 공개한 '준비 2030'은 앞으로 EU의 방위비 지출을 4년 동안 8000억유로(약 1172조원)로 더 늘린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당초 '유럽 재무장'이었던 명칭이 일부 국가들의 반발로 '준비 2030'로 바뀐 것으로 2030년을 러시아가 EU나 나토 회원국에 대한 공격에 필요한 능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로 잡았다.메르츠 독일 기..

카테고리 없음 2025.03.31

꿀벌 수억마리 떼죽음 미국 양봉업계 위기

미 CBS 방송, 영국 가디언 등은 3월29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최근 8개월간 꿀벌 수억마리가 떼죽음을 당하면서 양봉 업계가 큰 위기에 빠졌다고 보도했다.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양봉 관련 비영리 단체인 '프로젝트 아피스 엠'이 미국 내 양봉업자 7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겨울 봉군(벌떼) 중 62%가 평균적으로 감소했다.조사 대상 양봉업자가 키우는 꿀벌은 미국 전체의 약 68%로 봉군 183만5000개에 해당한다. 대형 양봉업자인 블레이크 슈크는 자신이 운영하는 양봉장에서 꿀벌 수만마리가 죽은 것을 발견했으며, 이번처럼 꿀벌이 많이 폐사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그는 "이번 사태가 역사상 최악의 꿀벌 폐사라는 것을 자료가 보여준다"라고 덧붙였다. 꿀벌이 대규모로 폐사하면 단순히 양봉 업계에 ..

나의 이야기 2025.03.31

2025년 세계행복보고서, 한국 58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웰빙 연구센터와 갤럽,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3월19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행복보고서'(WHR)를 펴내고 국가별 행복 순위를 발표했다.1위는 행복 점수 7.736점을 받은 핀란드로, 8년 연속 가장 행복한 국가에 등극했다. 2위는 덴마크(7.521점), 3위 아이슬란드(7.515점), 4위 스웨덴(7.345점)으로 북유럽 국가들이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한국은 58위(6.038점)로 작년(52위)보다 6계단 떨어졌다. 한국은 2023 보고서에서는 57위, 2022년에는 59위, 2021년에는 62위였다.상위권에는 네덜란드(5위, 7.306점), 노르웨이(7위, 7.262점), 룩셈부르크(9위, 7.122점), 스위스(13위, 6.935점), 벨기에(14위, ..

카테고리 없음 2025.03.20

2024년도 주요 기업 경영진 보수 현황

금융감독원은 3월18일 전자공시시스템에 각 사가 공시한 2024년도 사업보고서에 공시한 주요 기업 경영진 보수 현황을 취합한 결과를 밝혔다.지난해 국내 재계 총수 중 조현상 부회장은 지난해 HS효성과 효성에서 총 323억8천200만원을 받아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았다.그가 2023년 효성에서 받은 보수 57억원과 비교하면 약 5.7배 많은 금액이다. 조 부회장은 작년 7월 효성에서 인적분할해 출범한 HS효성을 이끌고 있다. 이번에 효성에서 받은 퇴직금과 특별공로금이 보수에 포함돼 재계 연봉 1위가 됐다.지난해 조 부회장은 효성에서 급여 20억원, 상여 3억원, 특별공로금 85억원, 퇴직소득 171억9천200만원 등 총 279억9천200만원을 수령했다. 또 조 부회장은 새로 출범한 HS효성에서도 급여 23억..

카테고리 없음 2025.03.18

민감국가 지정 관련 美 아이다호 국립 연구소는 어떤 곳인가

미국 정부와 과학계 등에 따르면 '아이다호 국립 연구소'(Idaho National Laboratory, INL)는 핵융합을 전기에너지로 활용하는 전환점을 만든, 원자력 발전 개발의 성지와도 같은 곳이다.미 에너지부 산하 17개 국립 연구소 중 하나로, 원자력 관련 연구에 있어서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명성이 높은 연구소다.1949년 설립된 국가원자로시험소(NRTS)로 출발, 아이다호 국립 공학 연구소(INEL, 1974년), 아이다호 국립 공학 및 환경 연구소(INEEL, 1997년)를 거쳐, 2005년 아르곤 국립 연구소 서부지점(Argonne-West)과 합병해 현재의 INL로 재출범했다.미국 북동부 아이다호 고지대 사막에 2310㎢ 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6400여 명의 연구원 ..

카테고리 없음 2025.03.18

미국 '민감국가 리스트'에 한국 추가

미국이 한국을 이른바 '민감국가 리스트'에 추가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민감 국가로 지정하면서 원자력과 인공지능(AI) 등 한미 첨단기술 협력에 타격이 불가피하지만, 한국 정부는 조기 대응은 커녕 사실 관계 조차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미 에너지부(DOE)는 국가 안보, 핵 비확산, 경제안보 위협, 테러 지원, 지역 불안정 등을 이유로 특정 국가를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SCL)에 포함할 수 있다.기존 목록에는 25개 국가가 포함됐었다. 이들 국가는 주로 테러 우범국이거나 미국 제재 대상 국가들이었다. 올해 초 한국이 명단에 들어가면서 미 에너지부 지정 민감국가는 총 26국으로 늘..

카테고리 없음 2025.03.18

OECD, 한국 성장률 전망 2.1→1.5% 대폭 하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월17일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OECD는 매년 2회(5∼6월, 11∼12월) 세계 경제와 회원국, 주요 20개국을 대상으로 경제 전망을 한다. 3월과 9월에는 중간 경제전망을 통해 전망치를 수정한다.OECD는 "한국의 성장세는 유지될 것이나 기존 예상보다는 완만해질 전망"이라며 올해 한국 경제가 1.5%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석달만에 0.6%포인트(p)나 끌어내렸는데 이는 미국발 관세전쟁의 타격을 직접적으로 받는 멕시코·캐나다를 제외하면 주요국 중 하락 폭이 가장 크다.이는 한국은행이 지난 달 발표한 전망치와 같다. 국제통화기금(IMF·2.0%), 정부(1.8%), 한국개발연구원(KDI·1.6%) 등의 전망치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민주주의 리포트 2024, 한국 47위로 추락

스웨덴의 민주주의다양성연구소(V-Dem·)는 3월7일(현지시간) 민주주의 보고서(Democracy Report 2024)를 발표했다.V-DEM(비딤)이 이날 공개한 보고서 “민주주의 리포트 2024‘에서 한국의 2023년도 자유민주주의 지수(LDI)가 0.60으로 조사대상국 179개 국가에서 47위를 기록했다. 1년 전 보고서에서는 LDI가 0.73으로 전체 순위 28위였으나, 윤석열 정부 들어 순위가 현격하게 뒤쳐지면서 한국을 "민주화에서 독재화(autocratization)로의 전환이 진행되는 국가” 가운데 한 국가로 꼽았다.‘비딤’은 각 국가와 지역의 •선거민주주의, •삼권 분립과 시민자유, •표현의 자유, •평등 등 관련 지수를 바탕으로 산출하는데, 0~1까지로 1로 갈수록 높은 수준의 민주주의를..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그린란드 총선서 정치 신인이 승리

그린란드 차기 총리가 유력한 옌스-프레데리크 니엘센 민주당 대표가 지난 3월12일(현지시간) 전날 치러진 총선 결과를 축하하는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AP]그린란드는 지난 3월11일(현지시간) 총선에서 미국 편입을 거부하면서도 독립 속도조절론을 주장하는 군소정당이 예상 밖의 1위를 차지했다.트럼프 대통령이 편입 의사를 노골화한 상황에서 경제자립 없는 독립이 불러올 결과에 대한 두려움이 표출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변수’가 민심을 흔든 셈이다.개표 결과에 따르면 야당인 중도 우파 성향의 민주당이 29.9%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전체 의회 31석 가운데 10석을 확보했다. 이 당은 직전 2021년 총선에선는 3석을 얻어 원내정당 중 의원 수 4위였다.이번 총선의 2위는 또 다른 야당인 방향당..

카테고리 없음 2025.03.15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AI 앱은 챗 GPT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은 3월11일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안드로이드, iOS 운영체재 대상)를 대상으로 사용자 수를 표본 조사해 분석했다. 그 결과, 이달 첫째 주(3월 3~9일) 모든 세대에서 1위를 차지한 앱은 챗GPT였다고 밝혔다.챗GPT를 가장 많이 사용한 연령대는 190만5천700명을 기록한 20대였다. 그다음으로 30대(151만8천700명), 40대(127만7천700명), 20세 미만(72만2천200명) 순이었다.사용 시간도 20대(118만5천시간)가 가장 길었으며, 30대(101만5천시간), 40대(50만6천800시간) 순이었다.2위부터는 연령대마다 다른 양상을 보였다.30대 이하 연령대가 챗GPT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 앱은 뤼튼이었으며, 40대 이상은 에이닷으로 조사..

카테고리 없음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