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꿀벌 수억마리 떼죽음 미국 양봉업계 위기

nyd만물유심조 2025. 3. 31. 18:02


미 CBS 방송, 영국 가디언 등은 3월29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최근 8개월간 꿀벌 수억마리가 떼죽음을 당하면서 양봉 업계가 큰 위기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양봉 관련 비영리 단체인 '프로젝트 아피스 엠'이 미국 내 양봉업자 7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겨울 봉군(벌떼) 중 62%가 평균적으로 감소했다.

조사 대상 양봉업자가 키우는 꿀벌은 미국 전체의 약 68%로 봉군 183만5000개에 해당한다. 대형 양봉업자인 블레이크 슈크는 자신이 운영하는 양봉장에서 꿀벌 수만마리가 죽은 것을 발견했으며, 이번처럼 꿀벌이 많이 폐사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사태가 역사상 최악의 꿀벌 폐사라는 것을 자료가 보여준다"라고 덧붙였다. 꿀벌이 대규모로 폐사하면 단순히 양봉 업계에 위기가 닥치는 것을 넘어서 농업 전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꿀벌은 단순히 꿀을 만드는 것 외에도 미국에서 재배되는 과일과 견과류, 채소의 75%를 수분(受粉)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꿀벌의 수분을 통해 1에이커(4046㎡)당 900∼1360㎏의 아몬드가 생산되지만, 꿀벌의 수분이 없으면 1에이커당 90㎏ 밖에 나오지 않는다.

슈크는 꿀벌 폐사가 계속된다면 "미국에서 식량을 소비하는 방식이 바뀔 것"이라며 "매년 꿀벌의 80%를 잃는다면 양봉 산업은 살아남을 수 없고 미국에서 식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규모로 수분을 할 수 없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는 단순히 양봉업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식량 안보 문제"라고 덧붙였다.

꿀벌 폐사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설이 제시되지만, 아직 확실하게 규명된 것은 없다. 과학자들은 기후 위기와 꿀벌 서식지 감소, 살충제 사용 등이 꿀벌에게 악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한다. 미국 텍사스주 A&M 대학교의 줄리아나 랭글 곤충학 교수는 꿀벌의 서식지와 기후 동향 등이 잠재적 요인이지만 확실한 답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도 상황은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겨울에만 약 78억마리에 달하는 꿀벌이 사라졌다고 발표했다. 제주도는 도내 꿀벌 개체 수가 5년 새 30% 이상 감소했다는 결과를 내놨으며, 경남도는 최근 이상기후와 꿀벌 질병 확산 등으로 꿀벌 개체 수가 평년 수준을 밑돌아 양봉 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양봉 업계는 최근 꿀 생산에 필요한 나무의 개화 시기가 불규칙해지고 개화일수까지 줄어들면서 꿀벌의 수명이 짧아졌다고 지적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강(霜降)  (0) 2022.10.19
추분  (1) 2022.09.19
세계최초 라면 생산과 우리나라의 라면 생산  (0) 2022.08.25
처서  (0) 2022.08.17
300년 만에 가장 큰 ‘170캐럿 핑크 다이아몬드 발굴  (0) 2022.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