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짇날은 음력 3월 3일을 가리키는 말로 고려시대에는 9대 속절(俗節)의 하나였다. 이날을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삼중일(三重日), 삼진일(三辰日), 상사일(上巳日)이라고 한다. 또 '답청절'(踏靑節)이라고도 했는데 이는 들판에 나가 꽃놀이를 하고 새 풀을 밟으며 봄을 즐기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에는 놀이 도구로 이때즘 버드나무나 미루나무에 물이 오르므로 가지를 꺾어 비틀어서 뽑아 속뼈는 내버리고 껍질로 피리를 만들어 불고 다니면서 놀았는데 잘 부는 사람은 구슬픈 소리를 내었으며 이것을 '호드기'라고 한다. 호드기는 그 굵기와 길이에 따라 여러 가지 소리가 난다. 또한 '솔잎걸기'와 '삘기뽑기'도 즐겨하는 놀이였다. 또 이때를 전후하여 경로회를 베풀어 노인을 모시고 음식을 대접했으며 한량들이 활터에 모여 편을 짜 활쏘기대회[弓術會]를 열었다.
마른 나뭇가지에 새싹이 돋고 산과 들에 푸르고 붉은 꽃들이 피기 시작하는 삼짇날에는 마을 사람들이 산으로 놀러 가는데, 이를 화류놀이라 한다.
산과 들로 나가 화전과 수면을 만들어 먹으며 봄을 즐겼는데 찹쌀가루에 반죽을 하여 참기름을 발라가면서 둥글게 지진 ‘화전(花煎)’과, 녹두가루를 반죽하여 익혀서 가늘게 썰어 오미자(五味子) 물에 넣고 또 꿀을 타고 잣을 넣어 화면(花麵)을 만들었다. 더러는 진달래꽃을 따다가 녹두가루와 반죽하여 만들기도 하며, 붉은색으로 물을 들이고 꿀물로 만들기도 하는데 이것을 ‘수면(水麵)’이라고 하여 제사에도 사용한다. 또 찹쌀과 송기와 쑥을 넣어서 떡을 하는데, 이것을 고리떡(環餠)이라고 하며. 부드러운 쑥잎을 따서 찹쌀가루에 섞어 쪄서 쑥떡도 만들어 먹었다.
각 가정에서는 삼짇날에 장을 담았는데, 담근 장에는 고추나 숯을 띄워놓고 부정한 것을 막기 위해 새끼를 왼쪽으로 꼬아 금줄을 쳤다.
삼짇날에는 처음 보는 짐승을 보고 신수점을 치기도 했는데 개구리는 복을, 노랑나비, 호랑나비는 좋은 일을, 흰나비는 상(喪)을 의미한다고 전해진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우절(萬愚節 / April Fools' Day) (0) | 2022.03.31 |
---|---|
인터넷사용, 한국인 일생의 40% 34년, 브라질은 41년 (0) | 2022.03.29 |
춘분(3.21) (0) | 2022.03.17 |
소탐대실(小貪大失)의 유래 (0) | 2022.03.17 |
동백나무와 동백꽃 (0) | 202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