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음력 7월 칠석(七夕)이다. 견우(牽牛)와 직녀(織女) 설화를 바탕으로 헤어져서 못 만나던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 번 까마귀와 까치들이 만들어준 오작교(烏鵲橋) 위에서 만나는 날이다.
칠석에는 비가 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 설화에 의하면 견우와 직녀가 반가워서 흘리는 눈물이라고 하고, 칠석날 전후에 내리는 비는 견우와 직녀가 서로 타고 갈 수레를 물로 씻어서 준비하기 때문이라는 얘기도 있다.
유래로는 하늘나라 목동인 견우와 옥황상제의 손녀인 직녀가 혼인하였다. 이들이 혼인한 후 놀고 먹으며 게으름만 피우자 옥황상제가 크게 노하여 견우는 은하수의 동쪽에, 직녀는 은하수의 서쪽에 떨어져 살게 하였다. 그래서 이 부부는 서로 그리워하면서도 건널 수 없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애태우면서 지내야 했다. 견우와 직녀의 안타까운 사연을 안 까마귀와 까치들은 해마다 칠월칠석날에 이들을 만나게 해 주기 위하여 하늘로 올라가 다리를 놓아 주었다. 이것이 오작교이다. 그래서 견우와 직녀는 칠월칠석날이 되면 이 오작교를 건너 서로 그리던 임을 만나 일 년 동안 쌓였던 회포를 풀고 다시 헤어진다고 한다.
세시풍속으로는, 칠석은 양수인 홀수 7이 겹치는 날이므로 예부터 길일로 여겨졌다. 칠석에 비가 내리면 ‘약물’이라고 해 계곡이나 약수터를 찾아 건강을 기원하며 몸을 씻었다. 또 잦은 비에 잠깐이라도 해가 나면 눅눅해진 옷과 책을 햇빛에 말리는 ‘포쇄’를 했다. 직녀의 별에 바느질 솜씨가 늘기를 비는 ‘걸교’라는 풍속도 있다. 새벽에 빈 다음 저녁에 거미줄이나 흔적이 있으면 그 소원이 이뤄졌다고 믿었다.
예전엔 별과 조상과 자연과 부처에게 소원을 비는 풍속도 지역과 가정에 따라서 행해졌다. 지역에 따라서 칠석제, 용왕제, 밭제 같은 제사를 지내고 사당에 천신(薦新)하며 밀국수, 밀전병, 호박도래전 등 시절 음식을 만들어 먹기도 하며 칠석음식으로 밀전병을 만들어 먹고 칠석놀이라 하여 술과 안주를 갖추어 가무로 밤이 깊도록 놀기도 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OECD 가입 30개국중 우리나라 갈등지수 3위 (0) | 2021.08.19 |
---|---|
한국의 기술 수준, 11대 분야 (0) | 2021.08.15 |
주요 국가의 논문 수, 중국이 1위 등극 한국은 12위 (0) | 2021.08.11 |
해바라기의 계절 (0) | 2021.08.11 |
배롱나무꽃의 아름다움 (0) | 2021.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