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일하는 고령층 비율 한국이 1위

nyd만물유심조 2021. 11. 27. 18:12


2020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일하는 고령층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이 처음으로 1위에 올랐다.

OECD 집계 결과 지난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 고용률은 34.1%였다. 1년 전보다 1.2%포인트 상승하며 역대 최고를 찍었다. 정년을 한참 넘긴 나이에도 3명 중 1명꼴로 일하고 있었다. OECD 회원국 평균 14.7%의 2배를 훌쩍 넘었을 뿐 아니라 38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만년 1위였던 아이슬란드(31%)를 제치고 처음 1위를 차지했다.

고용률은 인구 대비 취업자 수 비율을 뜻한다. 취업자에 구직 희망자(실업자)까지 더한 65세 이상 경제활동참가율(인구 대비 경제활동인구 비율) 역시 한국이 35.3%로 OECD 회원국 중 단연 1위였다.

반갑지만은 않은 기록이다. 한국 노인이 유난히 건강해서, 일 욕심이 많아서가 아니기 때문이다. 진짜 이유는 다른 OECD 통계에서 드러난다. 지난해 OECD 발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한국 65세 이상 인구의 상대 빈곤율은 43.4%에 이른다. OECD 1위로, 회원국 평균 15.7%와 비교하면 3배 가까이 높은 비율이다.

한국 노인 40% 이상이 벌이가 평균(중위소득)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가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연금 같은 노후 자금이 부족하고 사회 안전망은 빈약한 탓이다. 은퇴하고도 일터에 다시 나가야만 생계가 유지되는 현실이 한국 고령층 고용률을 끌어올리고 있었다. 거기에 정부가 ‘최소의 재정 투입, 최대의 인원 증가’ 효과를 내려고 노인 공공 일자리 만들기에 집중하면서 고령층 고용률이 더 치솟았다.

많은 선진국은 경제 발전, 복지 확충에 따라 65세 이상 고용률이 하향 안정화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10년과 지난해를 비교했을 때 노르웨이(18.1→10.3%), 스웨덴(13.3→10.7%), 핀란드(7.8→6.3%), 룩셈부르크(3.4→2.8%) 등이 대표적이다. 이 기간 OECD 평균은 12.3%에서 14.7%로 2.4%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반면 2010년 29%였던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은 지난해 34.1%로 5.1%포인트 상승했다. 고령 인구가 늘어나는 속도만큼 노후 복지 안전망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탓이다. 법정 정년을 넘긴 이들이 일할 수 있는 곳 대부분이 비정규ㆍ비숙련ㆍ저임금 업종이란 점도 한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