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사망 1457 ~ 1494
재위기간 1469년 ~ 1494년
가족관계 왕비 공혜왕후(恭惠王后), 정현왕후(貞顯王后), 아버지 덕종(德宗), 어머니 소혜왕후(昭惠王后)
휘(諱)는 혈(娎), 시호(諡號)는 성종강정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成宗康靖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이다. 세조의 장남인 의경세자(懿敬世子) 이장(李暲)과 한확(韓確)의 딸 소혜왕후(昭惠王后) 한씨 사이에서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1461년(세조 7)에 자산군(者山君), 1468년에 잘산군(乽山君)으로 봉해졌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했고, 사예(射藝)와 서화(書畵)에도 뛰어났으며 매사냥도 즐겼다고 한다.
아버지인 의경세자가 1457년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하여 세조의 둘째아들인 해양대군(海陽大君) 이황(李晄)이 왕위에 올라 조선의 제8대 예종(睿宗, 재위 1468~1469)이 되었다. 그러나 예종도 왕위에 오른 지 14개월 만에 죽자 세조의 왕비인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尹氏)와 신숙주(申叔舟), 한명회(韓明澮) 등 훈구대신의 뜻에 따라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과 예종의 아들인 제안대군(齊安大君) 이현(李琄) 등을 제치고 성종이 13세의 어린나이에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이후 1469년부터 1476년까지 할머니인 정희왕후 윤씨가 섭정으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하였다.
성종은 1467년(세조 13) 한명회(韓明澮)의 딸인 공혜왕후(恭惠王后) 한씨와 결혼했으나 그녀가 1474년(성종 5)에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죽자 1476년(성종 7)에 봉상시(奉常寺) 판사 등을 역임한 윤기견(尹起畎)의 딸 제헌왕후(齊憲王后) 윤씨를 계비(繼妃)로 맞이하였다. 그러나 1479년(성종 10)에 세자 융(㦕, 뒷날의 연산군)의 생모인 제헌왕후 윤씨를 폐비하고 윤호(尹壕)의 딸 정현왕후(貞顯王后) 윤씨를 다시 계비로 맞이하였다. 그리고 1482년(성종 13)에 폐비 윤씨를 사사(賜死)하였는데, 이 일은 뒷날 연산군 때에 갑자사화(甲子士禍, 1504)가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성종은 이외에도 명빈 김씨(明嬪 金氏), 숙의 김씨(淑儀 金氏) 등 수많은 후궁(後宮)을 두었으며, 그들과 20여 명의 자녀를 낳았다.
성종은 13세의 어린나이에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집권초기에 신숙주, 한명회, 홍윤성(洪允成), 김질(金礩) 등 9명의 원로 대신들이 원상(院相)으로서 정책 결정에 자문으로 참여하여 실질적으로 국정을 좌우하였다. 그러나 1476년(성종 7) 친정(親政)을 시작한 후 김종직(金宗直), 김굉필(金宏弼) 등 사림(士林派) 세력을 등용하여 훈구파를 견제하였다. 그리고 1478년 홍문관(弘文館)을 예문관(藝文館)에서 다시 분리하여 왕권을 호위하는 정치기구로 만들고, 새로운 인물을 과감하게 발탁하는 등 왕권 강화의 정치적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힘을 기울였다.
성종은 교육과 문화의 진흥에 힘을 기울여 세종과 세조 연간에 기틀이 형성된 조선 전기의 문물제도를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승려들을 엄하게 통제하고 사찰을 폐쇄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을 철저히 시행하였으며, 법령의 정비에도 힘써 유교적 통치 질서의 기반을 확립하였다. 1474년(성종 5)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완성하여 반포하였고, 1492년(성종 23) 《경국대전(經國大典)》을 더욱 보충하여 《대전속록(大典續錄)》을 간행하였다. 1491년 문신 중 덕과 재주가 있는 사람을 뽑아 직무를 쉬면서 학문에만 전념케 하여 '사가독서(賜暇讀書)'라고 불리는 호당(湖堂) 제도를 실시하였고, 서적의 간행도 활발히 추진하여 《여지승람(輿地勝覽)》, 《동국통감(東國通鑑)》, 《동문선(東文選)》, 《오례의(五禮儀)》, 《악학궤범(樂學軌範)》 등을 편찬ㆍ간행하였다.
여진족의 침략에 대비하는 등 북방 방비에도 힘썼다. 1479년(성종 10) 윤필상(尹弼商) 등을 통해 압록강 인근의 여진족을 소탕했으며, 1491년(성종 22) 허종(許琮)을 통해 두만강 일대의 여진족을 진압하였다.
성종은 재위 25년째인 1494년 음력 12월 24일에 38살의 나이에 창덕궁 대조전(大造殿)에서 사망했다. 죽은 후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선릉(宣陵)에 매장되었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朝鮮 第11代王 中宗 李懌(이역) (0) | 2017.02.26 |
---|---|
朝鮮 第10代王 燕山君 李㦕(이융) (0) | 2017.02.24 |
朝鮮 第8代王 睿宗 李晄(이황) (0) | 2017.02.24 |
朝鮮 第7代王 世祖 李瑈(이유) (0) | 2017.02.24 |
朝鮮 第6代王 端宗 李弘暐(이홍위) (0) | 2017.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