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유관순열사 옥사한 날(1920.9.28)

nyd만물유심조 2021. 9. 25. 20:44





유관순(柳寬順, 1902년 12월 16일 ~ 1920년 9월 28일) 열사는 1902년 충청남도 목천군 이원동면 지령리에서 유중권의 3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났다.
충청남도 공주 영명학당에서 수학하다 1916년 미국 여성 감리교회 선교사 사애리시(史愛理施) 부인의 권유로 서울의 이화학당 보통과 3학년에 교비생으로 편입학했다. 그후 유관순이 이화학당 고등과 1학년으로 진급한 1919년, 3.1 운동이 시작되었다.
교장 룰루 프라이는 학생들의 안전을 염려하여 참가를 말렸지만, 학생들은 학당의 담을 뛰어넘어 참가했다. 이 여파로 1919년 3월 10일에 전 학교에 휴교령이 떨어지자 함께 이화학당을 다니던 사촌 언니인 유예도와 함께 고향인 천안으로 내려와 ‘천안 아우내 만세운동’(1919년 양력 4월 1일, 음력 3월 1일)을 하던중 유관순 열사는 일본 앞잡이 노릇을 한 친일파 조선인 정춘영에 의해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로 끌려 갔다.

유관순은 3.1 운동 때 아버지, 어머니를 모두 일본 순사에게 잃고도 만세 운동을 위해 아우네 장터로 내려와 4월1일에 만세 운동을 벌인 것이다. 1920년 3월1일에도 감옥안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였으며 틈만 나면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고 만세운동을 했기 때문에 지하 독방에 갖히게 되었다. 지하 독방은 허리를 펼 수 없는 폐쇄적인 공간이었고 화장실도 별도로 없어서 매우 열악한 곳이었다.

지난 2013년 국가기록원이 주일대사관에서 이관받아 공개한 '3·1운동시 피살자 명부'에 따르면 유관순 열사는 '옥중 타살(打殺)', 즉, 감옥에서 구타를 당해 숨진(1920.9.28) 것으로 기재돼 있다.

유관순이 사망한 이틀 뒤, 이 소식을 들은 이화학당 교장 프라이와 월터 선생은 형무소 당국에 유관순의 시신 인도를 요구하였으나 거부당했다. 이에 이화학당의 외국인 교직원들이 유관순의 옥중 사망을 국제 여론에 호소하겠다고 강력하게 항의하자, 서대문형무소는 마지못해 월터 교장서리에게 시신을 인도하였다. 1920년 10월 14일에 정동감리교회에서 김종우 목사가 장례예배를 집례하고, 이태원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이후 그의 존재는 잊혀졌다. 유관순의 시신은 이태원 공동묘지에 안장되었으나, 1936년에 택지 조성 등을 목적으로 이태원 공동묘지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무연고묘로 처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타까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