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제18대 왕(재위 1659∼1674). 효종의 아들이다. 효종의 상례(喪禮)시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의 복상문제(服喪問題)에 서인의 기년설(朞年說:1년설)을 채택하고, 어머니 인선왕후가 죽자 2차 복상문제에서 남인의 기년제를 채택, 재위 중 남인과 서인의 당쟁이 계속되어 국력이 쇠퇴해졌다.
출생-사망 1641 ~ 1674, 재위기간 1659년 ~ 1674년
자 경직(景直). 휘(諱) 연(棩). 효종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 인선왕후(仁宣王后)이고 비는 돈령부영사 김우명(金佑明)의 딸 명성왕후(明聖王后)이다. 병자호란 후 아버지 봉림대군(鳳林大君:孝宗)이 볼모로 가 있던 선양[瀋陽]에서 출생하였다. 1644년(인조22) 귀국하여 1649년 왕세손(王世孫)에 책봉되고, 그해 효종이 즉위하자 왕세자가 되었다.
1659년(효종10) 즉위 뒤 효종의 상례(喪禮)로 인조의 계비(繼妃)인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服喪問題)가 일어나자, 남인이 주장하는 3년설을 물리치고 서인의 기년설(朞年說:1년설)을 채택함으로써 서인이 집권하게 하였다. 그러나 남인인 허적(許積)을 영의정에 유임시킴으로써 남인 재기의 바탕이 마련되던 중, 1674년(현종15) 어머니 인선왕후가 죽자 다시 자의대비의 복상문제가 일어나, 이번에는 남인의 기년제를 채택하여 대공설(大功說:9개월설)을 주장한 서인은 실각하고 남인 정권이 수립되었다. 이에 서인이 온갖 방법으로 재기를 꾀함으로써, 그의 재위 중에 남인과 서인의 당쟁이 계속되어 국력이 쇠퇴해졌으며, 게다가 질병과 기근이 계속되었다.
함경도 산악지대에 장진별장(長津別將)을 두어 개척을 시도, 1660년(현종1) 두만강 일대에 출몰하는 여진족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북변의 여러 관청을 승격시켰으며, 1662년 호남의 산군(山郡)에도 대동법(大同法)을 실시, 다음해 경기도에 양전(量田)을 실시하였다. 1668년 김좌명(金佐明)에게 명하여 동철활자(銅鐵活字) 10만여 자를 주조시켰고, 다음해 송시열(宋時烈)의 건의로 동성통혼(同姓通婚)을 금하고, 병비(兵備)에 유의하여 어영병제(御營兵制)에 의한 훈련별대(訓鍊別隊)를 창설하였다. 능은 경기도 구리시의 동구릉(東九陵)이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朝鮮 第20代王 景宗 李昀(이윤) (0) | 2017.03.03 |
---|---|
朝鮮 第19代王 肅宗 李焞(이순) (0) | 2017.03.03 |
朝鮮 第17代王 孝宗 李淏(이호) (0) | 2017.03.03 |
朝鮮 第16代王 仁祖 李倧(이종) (0) | 2017.02.28 |
朝鮮 第15代王 光海君 李琿(이혼) (0) | 2017.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