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가경쟁력 평가 순위

nyd만물유심조 2025. 6. 17. 12:21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은 6월 17일 '2025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평가에서 1~10위는 스위스, 싱가포르, 홍콩, 덴마크, 아랍에미리트(UAE), 대만, 아일랜드, 스웨덴, 카타르, 네덜란드가 차지했다. 미국은 13위, 중국은 16위를 기록했고 일본은 우리보다 낮은 35위에 머물렀다.

우리나라는 올해 평가에서 경제성과(16→11위)와 정부효율성(39→31위) 순위는 상승했으나, 기업효율성(23→44위)과 인프라(11→21위)는 순위가 하락해 27위에 그쳤다.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순위는 지난 2022년 27위, 2023년 28위를 기록한 뒤 지난해에는 역대 최고인 20위까지 상승했다가 올해는 다시 이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기업 효율성 분야에서는 •경영 관행(28→55위) •태도·가치관(11→33위) •노동시장(31→53위) •생산성(33→45위) •금융(29→33위) 등 전 부문에서 순위가 떨어졌다.

특히 점수가 크게 하락한 경영 관행의 경우 기업의 기회·위협 대응(17→52위), 고객만족도 고려 정도(3→40위), 기업의 민첩성(9→46위) 등에 대한 설문조사 점수가 하락했다. 태도·가치관 분야에서는 세계화에 대한 인식(9→35위)과 외국문화에 개방적인 정도(22→56위) 순위가 급락한 점이 눈에 띈다.

인프라 분야의 경우에도 •기술인프라(16→39위) •기본인프라(14→35위) •과학인프라(1→2위) •보건·환경(30→32위) •교육(19→27위) 등 전 부문에서 순위가 떨어졌다.

순위 하락 폭이 가장 큰 기술인프라 부문의 경우 디지털·기술 인력 구인(28→59위), 사이버보안(20→40) 등과 관련한 설문조사 순위가 떨어졌다.

경제성과 분야에서는 상품·서비스 수출 증가의 영향으로 국제무역(47→34위) 부문 순위가 크게 올랐다. 국제투자(35→21위)와 물가(43→30위)도 상승폭이 컸다. 국내경제(7→8위)와 고용(4→5위)에서는 소폭 하락했다.

정부 효율성 분야에서는 재정(38→21위)의 순위가 크게 올랐다. 탈세의 국가경제 위협이나 연금 운영 등에 대한 설문조사 점수가 오른 영향이다. 조세정책(34→30위)과 제도여건(30→24위)은 순위가 상승했고, 기업여건(47→50위)과 사회여건(29→36위)은 떨어졌다.

IMD는 국가와 기업이 부를 증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역량을 국제적으로 비교해 매년 6월 발표한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국가 역량과 기업의 효율적 운영 역량을 •경제 성과 •정부 효율성 •기업 효율성 •인프라 등 4개 분야 20개 부문으로 나눠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