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은 음력 새해의 첫날(음력 1월 1일)을 기념하는 명절이다. 설날은 설, 원일(元日),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단월(端月)이라고도 한다. '설', '설날'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가설이 있으나, 나이를 세는 의존명사 '살'과 동계어라는 학설이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 진다. 실제로 의존명사 '살'도 원래 형태는 '설'이었으며 설날은 세는나이 기준, 말 그대로 한 '살'을 먹는 날이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우리나라 최대의 명절인 설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 첫 아침을 맞는 명절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를 보면, 백제에서는 261년 설맞이 행사를 하였으며, 신라에서는 651년 정월 초하룻날에 왕이 조원전에 나와 백관들의 새해 축하를 받았는데, 이때부터 왕에게 새해를 축하하는 의례가 시작되었다고 쓰여 있다.
설날에는 다양한 풍습들이 있었는데 차례, 세배, 떡국, 설빔(새옷), 덕담, 문안비, 설그림, 복조리 걸기, 야광귀 쫓기, 청참, 윷놀이, 널뛰기 등이 그것이다.
설날의 대표적인 풍속으로는 세배(歲拜)로, 원래는 차례가 끝난 뒤에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찾아다니며 새해 인사를 드리는 것이었다. 차례가 끝나면 조부모, 부모, 백숙부모의 순서대로 새해 첫인사를 드리는데 이를 세배라 한다. 집안의 세배가 끝나면, 아침 식사를 한 후에 일가친척과 이웃 어른들을 찾아가서 세배를 드린다. 세배를 받은 측에서는 어른에게는 술과 밥, 아이에게는 과일과 돈으로 대접하며 서로 덕담을 나눈다. 청참(聽讖)이란 새벽에 집 근처에서 맨 처음 들리는 짐승의 울음소리로 한 해의 길흉을 점쳐보는 것이다. 야광귀(夜光鬼)란, 정월 초하루(설날) 밤이나 정월대보름 밤에 인가로 내려와 발에 맞는 신발을 찾다가 자기 발에 맞는 신발을 찾으면 그대로 신고 사라진다는 민간신앙 속의 귀신이다. 야광귀에게 신발을 빼앗기면 1년 내내 재수가 좋지 않다고 하여 어린 아이들은 신발을 방 안에 감추어 놓곤 했다.
설날 차리는 음식은 '세찬(歲饌)', 술은 '세주(歲酒)'라고 한다. 설날이 되면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들어 먹고, 세배하러 온 손님에게도 대접하는데, 이때 반드시 떡국을 차린다. 흰쌀을 빻아 만든 떡국은 설날 아침 제사지낼 때 제물(祭物)로 차리거나 손님에게 차려 내는데, 새해 때마다 떡국을 먹으므로 아이들이 나이를 물을 때 "떡국 몇 그릇 먹었느냐?"고 묻기도 한다. 설날 흰떡을 사용하여 떡국을 만드는 것은 새해 첫날이 밝아오므로 밝음의 뜻으로 흰떡을 사용하고, 떡국의 떡을 둥글게 하는 것은 둥근 태양을 상징하는 등 태양숭배 사상에서 유래된 듯하다. 설날에는 떡국외에도 쇠고기 산적, 떡갈비, 식혜, 수정과 등을 먹는다.
설날 동요.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곱고 고운 댕기도 내가 들이고
새로 사온 신발도 내가 신어요
우리 언니 저고리 노랑 저고리
우리 동생 저고리 색동 저고리
아버지와 어머니 호사하시고
우리들의 절 받기 좋아하세요
우리 집 뒤 뜰에는 널을 놓고서
상 들이고 잣 까고 호두 까면서
언니하고 정답게 널을 뛰-고
나는 나는 정말로 참말 좋아요
무서웠던 아버지 순해지시고
우리 우리 내 동생 울지 않아요
이집 저집 윷놀이 널뛰는 소리
나는 나는 설날이 참말 좋아요
여기서, 이 동요 가사에 나오는 까치는 조류 까치와는 전혀 관계 없다. 원래는 '아치설'이라는 이름이 세월이 흘러가며 '까치설'로 바뀐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