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小雪)은 24절기 중 스무 번째 절기며 '작을 소(小)' '눈 설(雪)'의 의미로 '첫눈이 내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무렵 한반도 대부분의 지역에 첫눈이 내리는 경우가 많으며 살얼음이 얼기 시작하여 겨울 기분이 들면서도 따사로운 햇살이 있어서 소춘(小春)이라고도 한다.
소설 전후에 보통 김장을 많이 하며 이미 농사철은 지났지만 여러 가지 월동 준비를 위한 잔일을 한다. 농촌에서는 시래기를 엮어 달고 무말랭이나 호박을 썰어 말리기도 하며 목화를 따서 손을 보기도 한다. 또 겨우내 소먹이로 쓸 볏짚을 모아둔다. 또한 예전엔 겨울을 대비하여 방고래와 구들을 손보고 문풍지를 바르고 곳간의 쥐구멍을 막는 등 본격적인 겨울에 대비하는 시기이다.
이때는 평균 기온이 5도 아래로 내려가면서 첫 추위가 온다. 그래서 “초순의 홑바지가 하순의 솜바지로 바뀐다.”라는 속담이 전할 정도이고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라는 속담도 있으며, 소설에 날씨가 추워야 보리농사가 잘 된다고 믿었다.
옛 문헌에 보면 소설이 있는 음력 10월경에 상달고사를 지냈다고 한다. 그해 추수한 햇곡식과 과일들로 제사상을 차려 놓고 한해 농사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음에 대하여 하늘과 조상께 감사의 예를 올리는 것이다. 상(上)달이라는 말은 풍성한 수확과 더불어 신과 인간이 함께 즐기는 달이란 뜻으로, 일년 열두달 가운데 으뜸가는 달이라는 의미다.
조선 후기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중 10월령(음력)에 시월은 맹동이라 입동 소설 절기로다. 나뭇잎 떨어지고 고니 소리 높이 난다. 남은 일 생각하여 집안 일 마저 하세. 무우 배추 캐어 들여 김장을 하오리라. 앞냇물에 정히 씻어 염담을 맞게 하소. 방고래 구두질과 바람벽 맥질하기 창호도 발라 놓고 귀구멍도 막으리라. 수숫대로 텃울 하고 외양간에 떼적 치고 깍짓동 묶어 세고 파동시 쌓아 두소. 우리집 부녀들아 겨울옷 지었느냐 술 빚고 단자하고 강신날 가까웠다. 꿀 꺾어 단자하고 메밀 앗아 국수하소. 소 잡고 돝 잡으니 음식이 풍비하다 라고 하여 입동과 소설절기를 노래하기도 하였다.
소설에 부는 세찬 바람을 '손돌바람', 매서운 추위를 '손돌 추위'라고 한다. 그것은 손돌(孫乭)과 관련한 전설때문이다. 고려23대 고종이 몽고군의 침략을 받아 강화도로 피난을 가던 때 뱃길을 안내했던 '손돌'이라는 사공에서 유래된 이야기이다.
손돌이라는 뱃사공이 왕과 그 일행을 태워 피난을 돕게 되는데 손돌은 강한 물살에 안전한 물길을 택해 초지(草芝)의 여울로 배를 몰았다. 그러나 그럼에도 급한 물살에 왕은 손돌이 일부러 물살이 급한 뱃길을 잡아 노를 젓는 것이라 의심하고 손돌의 목을 베려고 했다.
이때 손돌이 왕에게 자신이 죽은 후에 배에 있는 박을 물에 띄워 그것을 따라가면 험한 물길을 벗어날 수 있다는 말을 남겼고 결국 죽게 되는데, 점점 심해지는 물살에 손돌의 말대로 박을 물에 띄우고 그것을 따라 갔더니 무사히 강화로 피할 수 있게 되었다. 그제서야 왕은 비로소 손돌의 재주와 충심을 알았다고 한다. 그래서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대명리 덕포진의 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곳에 장지를 정해 후하게 장사를 지내주었다고 한다. 이때가 10월 20일(음력) 이었는데, 매년 소설 즈음이 되면 찬바람이 불고 날씨가 추워져 이때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