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10월14일(현지시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국가 간 부의 차이 연구에 기여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다론 아제모을루·사이먼 존슨 교수와 미국 시카고대 제임스 로빈슨 교수 등 3인을 선정하였다.
노벨위원회는 “세 교수는 왜 어떤 국가는 부유하고 어떤 국가는 가난한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다”며 “한 가지 중요한 설명은 사회 제도의 지속적인 차이”라는 선정 이유를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세 사람은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이 도입한 다양한 정치·경제 시스템을 조사함으로써 제도와 번영 사이의 관계를 입증할 수 있었다”며 “그들은 또한 제도의 차이가 지속되는 이유와 제도가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 설명할 이론적 도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아제모을루와 로빈슨 교수는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라는 저서에서 국가 간 번영의 격차를 만들어내는 제도에 대해 탐구한다. 두 교수는 남한이 번영하고 북한이 빈곤한 것은 제도의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남한은 사유재산이 보장되고 법치주의가 적용되며 자유로운 직업 선택이 보장되는 ‘포용적 경제제도’를 택한 결과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북한은 소수가 더 큰 이익을 챙기는 ‘착취적 경제제도’를 도입했고 빈곤해졌다는 것이다.
노벨 경제학상은 1901년부터 시상된 다른 5개 부문과 달리 1969년부터 수여돼왔다. 스웨덴 중앙은행이 창립 300주년을 맞아 제정한 상이다. 정식 명칭은 ‘알프레드 노벨을 기념하는 경제과학 분야의 스웨덴 중앙은행상’이다.
스웨덴 발명가 알프레드 노벨의 뜻에 따라 인류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인물에게 주어지는 노벨상은 지난 7일 생리의학상부터 이날 경제학상까지 올해 수상자 발표를 모두 마쳤다.
시상식은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에 열린다. 물리학·화학·생리의학·문학·경제학상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평화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수여된다.
수상자에게는 메달과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4억3000만원)가 주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