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가위의 유래

nyd만물유심조 2016. 9. 14. 16:14

 

 

 

 

 

 

*한가위의 유래

 

한가위는 음력 팔월 보름날(15일)로 추석, 가배절, 중추절, 가위, 가윗날 등으로 불러진다.

'한가위'라는 말은 "크다"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라는 말이 합쳐진 것으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또 '가위'라는 말은 신라 때 길쌈놀이(베짜기)인 '가배'에서 유래한 것인데 다음과 같은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신라 유리왕 9년에 국내 6부의 부녀자들을 두편으로 갈라 두 왕녀로 하여금 그들을 이끌어 7월 기망(旣望:음력 열엿새 날)부터 길쌈을 해서 8월 보름까지 짜게 하였다. 그리곤 짠 베의 품질과 양을 가늠하여 승부를 결정하고, 진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려 이긴 편을 대접하게 하였다.

이 날 달 밝은 밤에 임금과 백관 대신을 비롯해 수십만 군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왕녀와 부녀자들이 밤새도록 `강강술래'와 회소곡(會蘇曲)'을 부르고, 춤을 추며 질탕하고 흥겹게 놀았다. 이것을 그 때 말로 `가배→가위라고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한가위의 다른 이름인 중추절(仲秋節)은 가을을 초추(初秋), 중추(仲秋), 종추(終秋) 3달로 나누어 음력 8월 가운데에 들었으므로 붙은 이름이다.

추석이라는 말은 ‘예기’의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나온 것이라는 설과 중국에서 중추(中秋), 추중, 칠석, 월석 등의 말을 쓰는데 중추의 추(秋)와 월석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 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한가위 송편

추석의 대표적인 절식으로는 송편을 빼놓을 수가 없다.

송편은 반죽한 멥쌀가루에 소를 넣고 빚어 솔잎을 깔고 쪄낸 떡을 말한다. 솔잎에는 살균물질인 피톤치드(phytoncide)가 다른 식물보다 10배정도 많이 포함되어 있어 유해성분의 섭취를 막아줄 뿐만 아니라 위장병, 고혈압, 중풍, 신경통, 천식 등에 좋다고 한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모시잎을 삶아 넣어 빛깔을 낸 모시잎 송편, 강원도 지방에서는 감자를 갈아 녹말가루를 내어서 끓는 물로 익반죽한 다음 치대어 송편 빚듯이 소를 넣어 쪄낸 감자송편이 있다. 이 외에 쑥송편, 치자송편, 호박송편, 사과송편 등도 별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