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5G 인프라 OECD 회원국 중 1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1월20일 ‘디지털 경제 전망 보고서 2024 2권’에서 한국이 5세대(5G) 이동통신 인프라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OECD가 중국과 유럽연합(EU)까지 포함해 29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의 인구 10만명당 5G기지국 수는 593개로 OECD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리투아니아(328개), 3위 핀란드(251개) 순을 기록했다. OECD 평균은 100개로 한국은 평균에 비해 약 6배 가까이 촘촘한 5G 기지국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인구 100명당 5G 기기 연결 수는 조사대상 37개국중 한국이 63개로 미국(68.4개)에 이어 2위였다. 핀란드가 58개로 3위, 중국이 57개로 4위를 기록해 각각 뒤를 이었다. OECD 평균은 38.6개였다. 한국의 5G 보급률이 우수하다는 점을 시사한 셈이다.
또, 한국은 유선인터넷·유선전화·인터넷TV 3중결합(TPS) 저가 상품 요금도 가장 저렴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35개국을 조사해 한국이 약 21달러로 가장 저렴했고, 리투아니아(약 25달러), 라트비아(약 30달러), 멕시코(약 30달러) 순으로 저렴했다. OECD 평균은 64달러를 기록했다.
고품질 광대역 서비스 수요가 지속 상승하면서 OECD 역내 통신 부문 투자는 5년간(2018~2023년) 18%(연평균 성장률 3.4%) 증가했다. OECD 회원국들은 디지털 전환을 위한 통신 투자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 역내 모바일 광대역 가입자 수는 10년간(2013~2023년) 2배 이상 증가한 18억 6000만명을 기록했다.
OECD 역내 모바일 광대역 가입자 수는 10년간 2배 이상 증가해 18억6천만명에 달했는데, 이는 5G의 도입이 주요 원인으로 평가됐다.
보고서에서는 디지털 보안에 대한 정책 및 기술 동향도 다루어졌다. 한국의 IoT 보안인증, EU의 사이버보안 인증, 일본 중요생활기구연계보안협의회(CCDS) IoT 인증 등 각국의 디지털 보안 인증제도가 소개됐으며 동형 암호화 및 양자 컴퓨팅 기술의 발전이 디지털 보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분석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