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夕 한가위(음력8.15)





추석(秋夕) 또는 한가위는 음력 8월 15일로 설날과 더불어 농경사회였던 예로부터 지금까지 가장 중요한 연중 최대 명절이다. 가배일(嘉俳日), 한가위, 팔월 대보름 등으로도 부른다. 가을 추수를 끝내기 전에(조선시대 추수는 음력 9월) 덜 익은 쌀로 만든 별미 송편과 햇과일을 진설하고 조상들께 감사의 마음으로 차례를 지냈다. 추석에는 일가친척이 고향에 모여 함께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전통이 있다.
추석의 시초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와 이를 인용한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찾을 수 있다. 신라 제3대 왕 유리 이사금 때 서라벌 도성(6부) 안의 부녀자를 두 파로 나누고 두 명의 공주로 하여금 각 파를 이끌게 하여 백중(음력 7월 15일) 다음 날부터 한 달 동안 삼을 삼아 음력 8월 15일, 즉 추석 당일 가윗날에 한 달간의 성적을 심사해서 진 편이 이긴 편에 한턱 내고 모두 회소곡(會蘇曲)을 부르며 춤을 즐기면서 놀도록 한 것에서 유래를 찾는다.
고려와 조선에서는 가배(嘉俳, 嘉排)보다 추석이나 중추(中秋)라는 표현을 많이 썼다. 그러나 추석의 유래는 여전히 신라의 가배에서 찾고 있다. 이 두 명칭은 시기나 용도의 차이는 없으나 중추의 용례가 추석보다 훨씬 많다. 조수삼은 추재집(秋齋集)에서 8월 15일을 추석이라고 하면서 이 말은 중추에 달구경을 하는 저녁, 혹은 가을(秋)에 햇곡식을 수확하여 농사가 마무리된 때를 저녁(夕)과 같은 것으로 여겨 이르는 것이라고 하였다. 시기를 기준으로 가을의 중심(中秋)을 뜻하는 중추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추석이 더 의미가 깊은 말인 듯하다.
요즘은 한가위라는 우리말 표현도 익숙하다. 가배를 우리말로 표기하면 가위가 되는데, ‘가위’에 해당하는 음을 빌려 표기한 한자가 가배이다. 가배의 뜻은 ‘가운데(中)’ 혹은 절반(半)의 어근인 ‘갑’에 명사형 접미사 ‘-이’가 붙은 형태이다. 따라서 추석은 가을의 중간, 가을의 반이라는 뜻이 된다. 추석을 의미하는 중추절(仲秋節)도 가을의 세 달인 7·8·9월을 초추, 중추, 종추로 나누었을 때 중추인 8월, 8월에서도 가운데 날인 15일을 의미한다.
추석날 아침 일찍 일어나 첫 번째 일은 차례를 지내는 일이다. 수일 전부터 미리 준비한 제물을 차려놓고 차례를 지낸다. 이 때에 설날과는 달리 흰 떡국 대신 햅쌀로 밥을 짓고 햅쌀로 술을 빚고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내는 것이 상례이다. 가을 수확을 하면 햇곡식을 조상에게 먼저 천신(薦新)한 다음에 사람이 먹는데 추석 차례가 천신을 겸하게 되는 수도 있다.
차례가 끝나면 차례에 올렸던 음식으로 온 가족이 음복(飮福)을 한다. 아침식사를 마치고 조상의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하는데, 추석에 앞서 미리 산소의 풀을 깎는 벌초를 해 놓는다.
추석 때는 여러 가지 행사가 펼쳐지며 놀이가 벌어진다. 소싸움·길쌈·강강술래·달맞이 등을 한다. 농악을 즐기는가 하면 마을 주민들끼리 편을 가르거나 다른 마을과 줄다리기를 한다. 잔디밭이나 모래밭에서는 씨름판이 벌어지는데 이긴 사람은 장사(壯士)라고 하였고 송아지·쌀·광목 등을 선물로 준다. 전라남도 서해안 지방에서는 추석날 달이 뜰 무렵 부녀자들이 공터에 모여 강강술래를 하였으며, 닭싸움·소싸움도 즐겼다고 한다. 강강술래는 우리 고유의 정서와 우리말과 리듬이 잘 담겨있는 무형 문화유산이다. 각 지역마다 사람들의 삶이 녹아 있는 어휘를 품고서 반복되는 후렴, 리듬의 강약, 변화무쌍한 의성어와 몸동작은 어떤 무형 문화유산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다양성을 보여준다.